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보도자료

경북 바이오·백신산업 특화단지! IVI와 세계화를 꿈꾼다!!
부서명
경제산업국 바이오생명산업과
전화번호
054-880-2518
 
 
작성자
김재성
작성일
2024-06-26 13:35:23
조회수
63
-‘경북 바이오·백신산업 특화단지’ 지정에 힘을 싣다! -
- 백신산업 글로벌 협력 MOU 체결 및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현판식 -
1._국제백신연구소-경북도_협업_업무협약식.jpg

1._국제백신연구소-경북도_협업_업무협약식.jpg

경상북도는 25일, 국제백신연구소와 백신산업 클러스터 글로벌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현판식을 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양금희 경제부지사, 제롬김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 신동보 안동시 부시장, 정태주 국립안동대학교 총장, 전익조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장, 임재환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장, 이홍균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장 등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협약 내용으로는 경북 백신산업 클러스터의 글로벌 협력 고도화를 위한 백신 개발 및 생산 보급을 위한 협력, 백신 R&D, 생산 파트너십, 연구 컨소시엄, 인력 양성, 기술지원, 사업화 협력, 국내외 네트워크의 공동 활용 협력, 지자체의 지원 등이다.

협약식이 끝난 후 백신상용화기술지원센터를 방문하여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현판식을 했다.

국제백신연구소(IVI)는 1997년 설립되었으며, 대한민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로 서울대학교 내에 위치하고 있다.

국제백신연구소는 전 세계 공중 보건 향상을 위해 백신 연구, 개발, 보급을 주요 임무로 삼고 있으며, 주로 저소득국의 백신 접근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은 2016년 설립되어 백신상용화기술지원센터 내에 있으며, 임상시험검체분석기관(GCLP) 구축, A형 간염 백신 및 SFTS/HFRS 백신 공동 연구개발 등에 힘쓰고 있다.

* 국제백신연구소(IVI) 기관 현황
∙ 설립일자 : 1997. 10. ※우리나라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
∙ 대 표 자 : 제롬 김(Jerome H. Kim, 사무총장)
∙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연구공원 내)
∙ 인력현황 : 257명(외국인 68명, 내국인 189명)
∙ 규 모 : 연면적 16,982㎡(약 5,137평), 지하 1층, 지상 5층
∙ 주요시설 : 세계 공중 보건 향상을 위한 백신 연구, 개발, 보급 및 원조

경상북도는 백신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백신상용화기술지원센터,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를 구축하고, 지난해 3월, ‘안동 바이오생명 국가산업단지’후보지 선정에 따른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준비 중이며, 신병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AI 기반 항원 라이브러리 조성을 위한 재)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구축을 추진 중이다.
◦안동 바이오생명 국가산단[2023~2028, 3,579억원(국비), 부지 132만㎡, 안동시 풍산읍 일원]
◦(재)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2023~2027, 190억원(국 95, 지 95), AI 기반 항원 라이브러리 구축]

또한 국제백신연구소 및 지역 대학 등과 협업을 통해 백신 클러스터 입주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차근차근 준비하고 있으며, ‘경북 바이오·백신산업 특화단지’ 지정에도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은 경북 백신산업 클러스터가 글로벌 백신 허브 도약을 위한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경북이 주도하는 글로벌 백신산업의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해 안동 백신산업 인프라를 연계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연락처 :
054-880-4325
최종수정일
2022-02-09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