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경북을 빛낸 인물

no image

황경걸

활동시기
조선시대

상세설명

평해(平海) 황씨 양무공(襄武公 諱는 希碩)의 19세손이며 황영태(黃永泰)선생의 아들로서 수비면 죽파동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살림살이에서 글을 배우지 못하였으나 어릴 적부터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부지런히 일하여 생계(生計)를 이어갔다. 불행히 아버지가 우연히 눈이 멀어졌으며, 기침병으로 16년간이나 고통을 겪든 중 무오(戊午)년에 각지에서 괴질이 유행하여 경향(京鄕)에 병사자(病死者)가 많았을 때에 설상가상(雪上加霜)으로 이 괴질에 걸려서 위독한 상태에 빠졌다.

이에 경황(驚慌)한 아들이 이른 새벽에 약을 지으려 심산 유곡의 험한 덕재(德峴)를 넘어가는데 안개가 자욱하고 수림(樹林)이 울밀(鬱密)하여 지척(咫尺)을 분별 할 수 없었다. 사방은 적적하고 으쓱하여 호랑이라도 금방 나올 듯 하였다. 그러나 효자는 조금도 겁내지 않고 약을 지어 가지고 다시 덕재에 돌아오니 아직도 안개는 덜 개이고 어둑어둑한데 벼란 간에 뭇 까마귀들이 머리 위에서 지저귀며 날아들었다 날아갔다 하면서 흡사(恰似) 사람을 산(山)구렁으로 불러들이는 것 같아서 그 까마귀들을 따라 숲 속으로 내려간즉 오소리가 죽어 있기에 자세히 살펴보니, 방금 호랑이가 창자를 빼어먹고 김이 무럭무럭 나는 살코기만 남아 있어 그것을 등에 걸머메고 무서운 것도 잊고 발걸음을 재촉하여 집으로 돌아왔다.

그 오소리 고기를 아버지께 드리니 병세가 회복되어 그 후 10여 년을 더 살았다. 임종시에도 그는 단지(斷指)로 아버지 입에 수혈(輸血)하여 2, 3시간 소생하였으나 그만 천명(天命)인지 70세로 운명하였다. 효성이 지극한 그의 사실을 듣는 이마다 감동하고, 비금주수(飛禽走獸)들이 효성에 감동하여 도운 것이라며 멀리 가까이서 칭송이 자자(藉藉)하였다.

참고문헌 : 영양군지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행복콜센터
연락처 :
1522-0120
최종수정일
2021-04-05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