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경북을 빛낸 인물

no image

최복하

활동시기
고려시대

상세설명

고려 정종때 문과에 급제하여 한성판윤을 거쳐 보문각 직제학과 대사간을 지낸 사람이다. 이성계의 위하도 회군과 왕권침범으로 비행이 잦아 이를 못마땅히 여기는 동시 고려의 운명이 멀지 않았음을 알고 벼슬을 버리고 북면 무령현 마분동에 와서 숨어살 때 이구가 이를 알고 권기시까지 보내어 나라일을 같이 하고자 꾀하였으나 듣지 않고 있던 중 고려의 마지막 임금 공양왕이 삼척군 근던면 고돌재에 유폐되자 분함을 참지 못하여 고려조 장군 장천영과 임제 그리고 태학생 전생등과 협의하여 울진 삼척에서 수천명의 동지를 규합 혁명코자 하였으나 사전에 탄로되어 이성계의 아들 태종의 손에 죽고 말았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조정에서는 울진을 반역지역으로 지적하고 과거를 울진인에게 못보게 하여 출세의 길을 막았다.
그러나 세종대왕께서는 한나라 안에 이방 아닌 이방지역을 둔다는 것은 옳지 않다 하여 다른 군과 같은 대우를 하도록 하였다.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행복콜센터
연락처 :
1522-0120
최종수정일
2021-04-05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