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은 산을 등지고 물에 면하여 구릉에 집을 짓고 전면이 평지로 열려있다. 이는 부족한 농토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이다. 가옥은 남향으로 앉혀 밝고 따뜻하고 등진 뒷산은 겨울에 불어오는 북서풍을 막아준다. 마을 앞으로 물이 흐르고, 안산이 없는 곳에는 마을 어귀에 비보 숲을 조성하여 이를 대신한다. 이러한 지형에 맞추어 자연스레 집들이 배치되어 그 마을만의 개성을 갖게 된다.
2한옥의 비대칭적 배치
한옥은 건물의 기능에 따라 안채, 사랑채, 문간채, 행랑채 등으로 채를 분리해서 배치하는데, 이렇게 분리 된 채는 지형에 따라 자연스러운 비대칭을 하게 된다.
3채 간 위계질서
비대칭으로 놓이는 한옥의 건물들은 공간에 위계질서를 부여하여 전체적인 통일성을 이룬다. 안채와 사랑채의 형태와 관계, 사당의 위치 등을 조절하여 채 간의 위계질서를 부여하게 된다. 위계는 건물의 크기보다 사용자의 위계에 의해 결정된다.
한옥 평면의 구성
1안채와 사랑채
안채는 여성의 공간으로 집의 중심건물이면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접근하기 어려운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사랑채는 남자의 공간으로 손님을 맞고 공부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외부에 누마루를 두어 경치를 즐기고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두었다.
2마루와 구들
마루는 여름에, 구들은 겨울에 사용되는 공간으로 한옥의 특징이 되었다. 구들은 복사열에 의한 난방으로 실내 습도를 조절할 뿐 아니라 실내에 대류현상을 유도함으로써 공기를 쾌적하게 만든다. 마루는 대청마루, 누마루, 툇마루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는데 이들 마루는 정면과 좌우로 개방되어 있고, 마루 아래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여름에 유용한 공간이 된다.
3툇마루와 완충공간
한옥은 구들을 중심으로 한 사적공간, 대청을 중심으로 한 공적공간과 이 둘을 연결하거나 이어주는 툇마루 등의 완충공간이 있다. 완충공간은 온도의 변화에 대한 완충, 생활의 완충, 심리적인 완충의 역할을 한다.
구조와 비례
1목구조
한옥은 기둥 상부에 장혀, 도리, 들보 등을 짜 맞춤 하는 목구조이다. 이외에 산간 지역에 통나무를 쌓아 벽체를 형성하는 귀틀식 목구조가 있다. 한옥은 좌우 확장은 쉽지만 앞뒤 확장은 긴 부재의 들보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지붕도 함께 커지기 때문에 매우 어렵다. 이러한 공간 확장의 한계는 현대건축에서 요구하는 대형공간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한옥의 약점이라 할 수 있다.
2처마 내밀기
한옥의 처마길이는 일반적으로 기둥 밑에서 처마 끝을 연결한 연장선의 내각이 29~31° 정도를 이룬다. 이는 하지와 동지의 남중고도를 고려한 것으로 태양이 높은 여름에는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고, 태양이 낮은 겨울에는 실내로 깊게 빛이 유입되게 한 것으로 선조들의 오랜 건축적 경험에 의해 해결한 것이다. 기단은 처마내밀기에서 한 자 정도로 들려 빗물 유입이 되지 않게 하였다.
3기둥의 간격과 높이
한옥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요소 중에서 부재 간의 비례는 1/10~1/12정도가 일반적이다. 또 기둥높이와 기둥간격은 10 : 10 또는 10 : 9 정도가 보통이다. 벽체의 두께를 결정하는 장혀의 폭은 약 9cm가 일반적이며 높이는 12~15cm 정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4지붕 물매
한옥의 지붕은 장연과 단연을 써서 경사면을 형성한다. 장연 물매는 기와집인 경우 4.5~5.0寸 보통이며 단연의 경우는 9-10寸 정도가 된다. 전체 지붕물매는 5-7寸 정도이다. 실제 지붕의 경사면은 서까래의 경사와 또 다르게 조절되며, 기와가 이루는 면,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 처마선 등은 모두 곡선으로 형성된다.
5부재의 크기
부재의 크기는 기둥 굵기 또는 장혀의 폭에 의해 결정되고, 보편적으로 기둥높이는 2.4~2.7m이며, 두께는 18~24cm 이다. 이 때 들보는 폭 27cm, 높이 36cm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장혀의 폭은 수장폭이라 하며 두공, 벽선, 인방 등의 부재들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주택의 경우 수장 폭은 약 9cm가 일반적이다.
입면 구성요소
1창호
창호는 보통 여닫이와 미닫이를 이중으로 설치한다. 바깥쪽 여닫이 쌍창은 가는 창실을 갖는 세살창으로 하고 안쪽에는 용자살의 미닫이 쌍창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창의 폭은 양쪽으로 열었을 때 기둥 안쪽으로 꼭 맞게 들어오도록 하며 높이는 1.2m~1.5m 정도로 한다.
고급 한옥에서는 안에 흑창을 더 달아 삼중창으로 구성한다. 흑창은 도배지를 두껍게 발라 빛을 차단하고 단열효과를 높인 창이다. 부엌이나 광 등에는 나무로 만든 판문을 다는 것이 보통이다.
2벽체
한옥의 벽은 회벽이나 사벽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벽을 만들기 위해서는 나뭇가지와 짚 등으로 뼈대를 만들고 진흙을 양쪽에서 바르게 된다. 초벌은 진흙에 짚여물, 왕겨 등을 섞어 바른다. 모래는 점착력은 떨어지지만 갈라짐이 없어 표면 마감을 좋게 한다. 이렇게 모래마감으로 완성한 것을 사벽이라고 하고 여기에 더해 회를 발라 마감한 것은 회벽이라고 한다. 회벽은 방수에 효과가 있어서 벽체의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3도배
방은 천장과 벽에 목재가 보이지 않도록 한지를 모두 싸 바른다. 도배지는 닥지를 사용하지만 화려한 집에서 꽃무늬가 있는 능화지를 사용하기도 한다. 도배는 초벌, 재벌, 정벌 순으로 세 겹 정도 한다. 대청은 천장을 설치하지 않고 서까래가 그대로 노출하여 방과는 대비를 이루도록 한다. 누마루는 화려하게 보이도록 우물천장을 가설하기도 하고 특이한 문양의 창살을 이용하기도 한다.
주요재료
1목재
살림집에 사용되는 목재는 대부분 소나무이다. 소나무는 벌목한 이후에 바로 껍질을 벗겨 벌레가 먹지 않도록 하고 그늘에 건조되도록 한다. 뒤틀림이나 갈라짐 등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함수율은 23% 정도가 적당하며 수장재나 창호재는 곧은결을 골라 사용한다. 기둥으로 사용할 목재는 생장 당시 나무의 위 아래를 구별하여 사용하고, 들보의 경우는 생장 시 북쪽에 있던 부위를 밑으로 가게 한다.
2석재
석재는 기초와 마감재로 사용되었다. 기초의 적심석은 산돌을 사용했으며 강돌은 쓰지 않았다. 고급 기단은 화강석으로 쌓는데 돌을 조각해서 맞추었다. 기둥 밑을 받치는 초석은 자연석과 가공석 같이 사용했는데 이 때 화강석은 차가운 느낌의 흰색 보다는 약간 붉은 빛이 도는 따뜻한 느낌이 있는 것을 선호했다.
3기와 및 벽돌
기와 및 벽돌은 검은색을 사용했다. 무겁지만 지붕선이 있어서 장중하면서도 안정된 느낌을 준다. 기와는 방수도 중요하지만 호흡을 해야 한다. 실내 습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수제 기와는 가볍고 약간의 공극이 있어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했으나 압출가공 되는 요즘의 기와는 방수성능은 뛰어나지만 실내 습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성능이 떨어진다.
온열환경
1온열환경
지붕 안에 두텁게 깐 흙은 여름 날 기와를 달군 뜨거운 열을 차단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토벽과 함께 습기가 부족할 때는 수분을 내뿜고 습도가 높을 때는 이를 빨아들이는 습도조절능력이 있다.
2대류와 통풍
한옥은 경사지에 터를 마련하기 때문에 뒤편에 화계를 두고 각종 꽃과 나무를 심어 후원을 꾸며 그늘을 만들고 시원한 바람이 머물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앞마당은 하얗게 백토를 깔아 여름 태양이 공기를 뜨겁게 달군다. 앞마당에서 뜨거워진 공기는 기압이 낮은 반면, 후원의 시원한 공기는 기압이 높다.
이로 인해 안채를 사이에 두고 기압차가 발생하게 되고 공기가 이동하는 대류현상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대청 뒷문으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는 앞마당으로 흘러 대청을 시원하게 한다. 이때 대청 뒷문은 작게 내어 공기가 좁은 곳을 통과할 때 속도가 빨라지는 효과를 내게 한다.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