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이 전국지방장관회의를 통하여 '농민ㆍ관계기관ㆍ지도자 간의 협조를 전제로 한 농촌 자주 노력의 진작 방안을 연구하라'는 지시와 함께 처음으로 '새마을'이라는 명칭을 언급한 후 1970년 10월 '새마을가꾸기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새마을운동이 출범
'새마을가꾸기사업'은 전국 33,267개 마을에 시멘트 335포를 공급하고 마을 앞길 넓히기, 공동퇴비장 만들기, 공동빨래터 만들기, 공동우물 만들기, 하수구 보수 등 '새마을 10대 가꾸기 사업'을 중심으로 시행
새마을 10대 가꾸기 사업
1마을산 푸르게 가꾸기
2마을 진입로 넓히기
3마을 앞 소하천 뚝 보수
4공동 퇴비장 설치
5소류지 모래 파내기
6관정 보수 및 관리
7마을 청소 및 하수구 정비
8공동 우물 만들기
9공동 빨래터
10쥐 없는 마을 만들기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이념과 기본정신
근면ㆍ자조ㆍ협동의 새마을운동의 기본 정신은 전통적인 상부상조의 공동체정신을 계승하여 가난한 한국사회에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국가발전을 도모한 시대정신
근면정신 : 보람있게 살아가기 위하여 부지런히 일하는 지속적인 생활 자세를 의미
자조 정신 : 자신의 운명은 스스로의 손에 달렸다는 것을 알고 한계를 극복하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정신
기쁜 일은 함께 나누고 어려운 일은 분담할 때, 공동의 목표는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다는 정신 자세를 의미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추진주체
중앙정부 : 새마을운동 창안 및 주도
공무원 : 정부와 지역사회의 교량 역할
주민 : 새마을사업의 주축
새마을지도자 : 새마을운동의 핵심주체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실천 과제
11970
새마을운동은 생활환경개선, 소득증대, 의식개혁의 3대 역점사업을 중심으로 전개
21970~1973
마을안길확장, 농촌주택개선, 공동시설물 설치 등 생활환경사업이 중점적으로 시행
31973~1976
농지개량, 소하천 정비, 복합영농, 근로사업 등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사업들이 집중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 농가소득이 도시가구소득을 넘어서는 성과가 나타남
41976~1979
농촌지역의 경제 부흥, 도시지역의 공동체 의식 함양, 공장의 생산성 향상과 관련된 사업들이 시행되어 새마을운동의 범국민운 동으로 자리하는데 기여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