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YEONGSANGBUK-DO

Enlarge font sizeReduce font sizePrint

식물

경상북도 식물 게시판 제목, 내용에 관한 표입니다.
제목 내용
물참대 산골짜기 숲속 또는 숲가장자리의 암석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2m까지 자란다. 오래된 가지에서는 수피가 회색 또는 검은 회색으로 벗겨진다.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점첨두 설저이며 길이 2
매화말발도리 중부 이남의 바위틈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1m에 달하여 대개 비스듬하게 자란다. 잎은 대생하며 장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 넓은 설저로서 길이 4∼6㎝이며 불규칙한 가는 거치가 있다. 잎의
고광나무 각지의 산야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2∼4m에 달한다. 소지에 다소 털이 있고 2년지는 회갈색이며 껍질이 벗겨진다.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점첨두이고 넓은 설저이며 낮은 거치가 있다. 잎의 길
산수국 토양수분조건이 좋은 산골짜기나 돌이 많은 곳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1m까지 자란다. 잎은 대생하며 난상 피침형으로 끝은 꼬리처럼 긴 예첨두이고 기부는 원형 또는 설저이며 길이 5∼15㎝, 너비 2∼10
바위수국 울릉도 및 제주도 등의 남쪽 섬에 자라는 낙엽덩굴식물로 줄기가 10m이상 자란다. 줄기에서 기근이 나와서 나무나 바위에 붙어 자란다. 잎은 대생하고 넓은 난형으로 길이와 너비가 각각 5∼10㎝로서 예두이고 원
등수국 울릉도 및 제주도 등 남쪽섬에 자라는 낙엽덩굴식물로서 길이 10m이상 자란다. 가지에서 기근이 나와 바위나 수간에 붙어서 자란다. 오래된 줄기의 수피는 세로로 벗겨지며 소지에 털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까마귀밥(여름)나무 경북 북부지역에 자라며 높이 1∼1.5m에 달하는 낙엽관목으로 잎은 호생하며 둥글고 3∼5개로 갈라지고 둔두이며 기부는 심장저 또는 절지로서 길이 5∼10㎝이고 둔한 거치가 있다. 표면에 털이 없고, 잎뒷면은
팥배나무 전국에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 높이 15m에 달한다. 가지는 자갈색으로 피목이 뚜렷하다. 잎은 호생하며 난형,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5∼10㎝, 너비 3∼7㎝이다. 잎끝은 ?은 점첨두이고 원저이며 불
병아리꽃나무 경북 동해안 지역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2m까지 자라며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 점첨두이며 원저로서 길이 4∼8㎝, 넓이 2∼4㎝이며 복거치가 있고 2∼3㎜의 아주 짧은 엽병이 있다. 잎표면
황매화(죽단화) 뜰이나 사찰에서 심고 있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2m까지 자란다. 줄기는 녹색으로 뿌리에서 많은 가지가 나와 총생한다. 잎은 호생하며 난형으로 점첨두이며 기부는 둥글거나 아심장저로 길이 3∼7㎝, 넓이 2∼4㎝,
검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