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여건
대내외적 여건
01경제여건
- 지정학적 갈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 금리인상 영향 등 글로벌 경기 위축
* '22→ '23년 성장전망(%, OECD) : (세계경제) 3.1 → 2.2 (美) 1.8 → 0.5 (유로) 3.3 → 0.5
↳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 위기 제외시 '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 예상
02물가
- 원자재 가격 하락 수요 둔화 등 오름세 완만 할 것으로 전망, 수급여건 등 불확실성 상존 * 국제유가 전망($/b, 두바이유) : (’21) 69 → (’22e ) 96내외 → (’23e ) 88내외
* ‘22→‘23년 가격전망(%, IMF) : (밀)30.9→△8.7 (대두)12.2→△10.8 (알루미늄)10.9→△11.1
03금융시장
- 주요국 물가ㆍ금리, 경기 상황 등 불확실성 지속 예상, 글로벌 유동성 축소 과정에서 신흥국 중심 자금유출 확대 가능성
국내경제 전망
01소비
- 소비 회복 흐름 이어지겠으나, 금리 상승, 소득․자산 여건 악화로 증가세 둔화 전망
* '22년 4.6%, '23년 2.5% 증가 전망
02투자
- 세계경제ㆍ반도체 업황 부진, 기업 자금 조달 여건 제한, 부동산 경기위축 영향 등으로 부진 지속 전망
* 설비투자 '22년 △1.8%, '23년 △2.8% 감소 전망, * (건설투자) '22년 △3.0%, '23년 △0.4% 전망
* 주택 분양물량(만호, 월평균) : ('22.1/4) 2.2 (2/4) 1.7 (3/4) 2.4 (10) 3.6
* 수출(전년동기비, %) : ('22.1/4) 18.4 (2/4) 13.0 (3/4) 5.8 (10)△5.7 (11)△14.0 - (수출입) 글로벌 교역 및 반도체 업황 위축으로 감소 전망, 하반기 이후 점차 회복 기대 에너지 가격 하락, 수출 투자 부진으로 중간재 자본재 수입 등 상당폭 감소 전망
* '22→'23년 반도체 매출전망(%, WSTS) : (전체) 4.4 →△4.1 (메모리) △12.6 →△17.0
* 수출 '22년 6.6% 증가, '23년 △4.5% 감소, 수입 '22년 19.2% 증가, '23년 △6.4% 감소 전망
03경제성장
- 전 세계적인 경기위축 영향 등으로 성장률 둔화 전망, 하반기 세계경제 및 반도체 업황 개선 등으로 점차 회복 예상
* '22년 2.5%, '23년 1.6% 성장 전망, 경상GDP '22년 4.3%, '23년 4.0% 전망
04고용
- 일상회복, 비대면・디지털 전환 수요 등으로 높은 증가세이나 향후 기저영향, 경기둔화, 인구충격으로 취업자 증가폭 둔화 전망
* 취업자수 '22년 81만명, '23년 10만명 증가 전망
05소비자물가
- 원자재 가격 변동 가능성, 공공요금 현실화 리스크요인 상존, 높은 물가 지속으로 서민 생계비 부담 우려
* '23년 소비자 물가 '22년(5.1%) 보다 낮아진 3.5% 상승 전망
06인구
- 초저출산 지속('02년부터 합계출산율 1.3↓) 및 초고령화 사회 진입('25) 으로 인구충격 심화 글로벌 펜데믹 이후 정부재정 주도의 경제운용으로 민간활력 둔화로 경제의 역동성 제약하는 가운데 디지털화, 탄소중립, 공급망 재편 등 글로벌 구조 전환에 적응 성장잠재력 확충 노력 필요
경북 대내적 여건
01지역내총생산
- 2020 기준 106조원, 국내총생산의 5.4% 차지, 2011~20년중 연평균 1.0% 성장, 전국 2.5%에 비해 부진
* 1인당 GRDP 2020년 기준 3,989만원, 전국(3,752만원)의 1.06배 수준
02산업
- 권역별 제조업 중심, 서비스업 비중 증가
- 권역별 주력 제조업 클러스터로 전국 대비 제조업 비중 높음
* 포항 철강 및 국가 산단 생산액 '17년 이후 점차 증가세
* 구미 전자산업단지 생산액 '17년 이후 감소하다 '21년부터 회복세 - '20년부터 서비스업 비중 확대로 제조업 비중 추월
* 2019년 제조업(41.22%) 〉서비스업(39.89%), 2020년 서비스업(40.15%) 〉제조업(39.8%)
- 권역별 주력 제조업 클러스터로 전국 대비 제조업 비중 높음
03소비 및 투자
- 경북은 투자 비중이 전국대비 상대적으로 높음, 투자 지출이(33.8%) 전국(31.3%)를 상회
04수출 및 수입
- 2022년 10월중 수출 38.5억달러, 수입 14.9억달러(전체대비 비중 각 7.3%, 2.5%)
05고용
- '21년 고용률 65.7%, 실업률 3.4%, 취업자수 1,410천명, 실업률은 전국(3.7%) 대비 낮으나,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에 따른 영향
* 고용률(15~64세)은 전국(고용률 66.5%, 실업률 3,2%)대비 저조
* 주요지표(2017대비 2021) - 민등록인구 2,677(↓68천명), 15세 이상 2,312(↓4천명), 경제활동 1,457(↓31천명), 취업자 1,410(↓37천명), 실업자 47(↓6천명), 실업률 3.2(↓0.4%p), 고용률 65.7(↓2.2%p)
06인구
- 지속적 감소세, 청년층 유출 및 노년층 증가세
- 매년 감소 추세로 청년층(20~30대) 유출 심화 초고령 가속, 평균연령 44.5세
* 청년유출(20~30대) ('17)10,619명 ('18)12,825명 ('17)11,402명 ('20)19,516명, ('21) 8,487명
* (생산가능인구, 15~64세) ('17) 2,316천명 → ('21) 2,312천명(▼4천명)
- 매년 감소 추세로 청년층(20~30대) 유출 심화 초고령 가속, 평균연령 44.5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