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보전법 제3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1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역대기오염의 실태를 파악하고 대기질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대기오염측정망을 설치・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도시대기측정망 14개 지점, 도로변측정망 2개 지점, 대기중금속측정망 4개 지점 및 대기오염이동측정차량 1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도시대기측정망과 도로변측정망에 대한 대기질 측정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기오염측정망(2016~2020)
일반측정망
일반대기오염측정망
도시대기
교외대기
국가배경농도
도로변대기
특수대기오염측정망
유해대기물질
지구대기
대기중금속
PM-2.5
광화학대기오염
국내유입감시
산성강하물
시정대기
집중측정망
백령도
수도권
중부권
호남권
영남권
제주권
← scroll →
측정망 | 측정항목 | 측정목적 | 측정주기 | 측정소수 | ||
---|---|---|---|---|---|---|
소계 | 환경부 | 지자체 | ||||
도시대기 측정망 | SO2, NOx, O3, CO, PM-10, 풍향, 풍속, 온도, 상대습도 | 도시지역의 평균 대기질 농도를 파악하여 환경 기준 달성 여부 판정 | 연속/1시간 | 233 (71개 시・군) |
- | 233 (71개 시・군) |
도로변 측정망 | SO2, NOx, O3, CO, PM-10, 풍향, 풍속, 온도 | 자동차 통행량과 유동 인구가 많은 도로변 대기질을 파악 | 연속/1시간 | 28 (13개 시) |
- | 28 (13개 시) |
산성강하물 측정망 | pH, 강수량, 전기 전도도, 이온농도 | 대기 중 오염물질의 건성 침착량 및 강우・강설 등에 의한 오염물질의 습성 침착량 파악 | 강수시 | 38 (35개 시・군) |
- | 38 (35개 시・군) |
국가배경 농도 측정망 | SO2, NOx, O3, CO, PM-10, 풍향, 풍속, 온도 | 국가적인 배경농도를 파악하고 외국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입, 유출상태 등을 파악 | 연속/1시간 | 6 (6개 시・군) |
6 (6개 시・군) |
- |
교외대기 측정망 | SO2, NOx, O3, CO, PM-10, 풍향, 풍속, 온도 | 도시를 둘러싼 교외 지역의 배경 농도를 파악 | 연속/1시간 | 15 (15개 시・군) |
15 (15개 시・군) |
- |
대기중금속 측정망 | Pb, Cd, Cr, Cu, Mn, Fe, Ni | 도시지역 또는 공단 인근 지역에서의 중금속에 의한 오염 실태를 파악 | 월/5회 | 46 (19개 시) |
- | 46 (19개 시) |
유해대기 측정망 | VOCs 13개 항목 PAHs 7개 항목 |
인체에 유해한 VOCs, PAHs 등의 오염 실태 파악 | 분기/1회 | 31 (23개 시군) |
31 (23개 시군) |
- |
광화학오염물질 측정망 | VOCs 56개 항목 | 오존생성 에 기여하는 VOCs에 대 한 감시 및 효과적인 관리대책의 기초자료 파악 | 연속/1시간 | 24 (11개 시・군) |
15 (11개 시・군) |
9 (1개 시) |
시정거리 측정망 | 시정(산란계수) | 도시 대기의 시정 거리를 측정하여 체감 오염도를 파악 | 연속/1시간 | 4 (3개 시) |
- | 4 (3개 시) |
지구대기 측정망 | CO2, CH4, N2O(CFCs) | 지구 온난화 물질의 대기 중 농도 파악 | 연속/1시간 | 1 (1개 군) |
1 (1개 군) |
- |
총계 | 426 (89개 시・군) |
106 (44개 시・군) |
320 (71개 시) |